(농학과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나서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단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1 00:00
본문
Download : (농학과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단하시오.hwp
2) 쌀소비등 신토불이 작물을 장려시켜 농업을 보호해야 한다. 국산 쌀로 밥을 지어먹을 생각은 꿈도 꾸지 말아야 한다.
3) 농업 기능의 중요성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참고한 문헌
Ⅰ. 서 론
카길은‘세계적 규모로 비교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최상’이라는 서구 경제학의 고전적인 이데올로기를 추종한다. `종자에서부터 슈퍼마켓까지` 식량산업에 관련한 모든 분야에 진출해서 막강한 정치력을 기반으로 한 나라의 식량주권을 뒤흔드는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의 활동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 이데올로기에 따르면, 한국은 주요 곡물과 식물성 기름은 물론이고 가축 사료까지 모두 수입에 의존하고 오로지 집약적인 채소경작과 가금농사에만 매달려야 한다.
③ 지속가능한 지역농업 발전전술으로 획일적인 중앙농정을 극복해야 한다.
5) 지속가능한 농업농촌과 식량주권
6) 자립자급형 농업발전을 통한 식량주권을 지켜내는 것이 대안이다.이 회사가 어떤 방식으로 한 나라의 농업을 파괴하면서 이익을 얻는지, 이 과정에서 현…(skip)
농학과생물과학1
(농학과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나서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단하시오.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브루스터 닌 저/ 안진환 역, 출판사:시대의창)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단하시오.농학과생물과학1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누가우리의밥상을지배하는가 , (농학과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단하시오.감상서평레포트 ,
위 data(자료) 요약요점 잘되어 있으니
Download : (농학과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단하시오.hwp( 75 )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누가우리의밥상을지배하는가
순서
다.
① 식량자급형 농업발전으로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대응해야 한다. 산업화된 식량경제 체제에서는 그런 낭만주의를 허용할 여유가 없기 때문일것이다 ADM과 함께 전 세계 곡물시장의 75%를 점유하고 있는 다국적 곡물기업 카길의 활동을 파헤쳤다.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브루스터 닌 저/ 안진환 역, 출판사:시대의창)를 읽고나서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단하시오.
%EB%88%84%EA%B0%80%20%EC%9A%B0%EB%A6%AC%EC%9D%98%20%EB%B0%A5%EC%83%81%EC%9D%84%20%EC%A7%80%EB%B0%B0%ED%95%98%EB%8A%94%EA%B0%80%EB%A5%BC%20%EC%9D%BD%EA%B3%A0%20%EC%84%B8%EA%B3%84%ED%99%94%20%EC%8B%9C%EB%8C%80%EC%97%90%20%EB%A7%9E%EC%84%A4%20%ED%95%9C%EA%B5%AD%20%EB%86%8D%EC%97%85%EC%9D%98%20%ED%98%84%EC%9E%AC%EB%A5%BC%20%EC%A7%84%EB%8B%A8%ED%95%98%EC%8B%9C%EC%98%A4_hwp_01.gif)
%EB%88%84%EA%B0%80%20%EC%9A%B0%EB%A6%AC%EC%9D%98%20%EB%B0%A5%EC%83%81%EC%9D%84%20%EC%A7%80%EB%B0%B0%ED%95%98%EB%8A%94%EA%B0%80%EB%A5%BC%20%EC%9D%BD%EA%B3%A0%20%EC%84%B8%EA%B3%84%ED%99%94%20%EC%8B%9C%EB%8C%80%EC%97%90%20%EB%A7%9E%EC%84%A4%20%ED%95%9C%EA%B5%AD%20%EB%86%8D%EC%97%85%EC%9D%98%20%ED%98%84%EC%9E%AC%EB%A5%BC%20%EC%A7%84%EB%8B%A8%ED%95%98%EC%8B%9C%EC%98%A4_hwp_02.gif)
%EB%88%84%EA%B0%80%20%EC%9A%B0%EB%A6%AC%EC%9D%98%20%EB%B0%A5%EC%83%81%EC%9D%84%20%EC%A7%80%EB%B0%B0%ED%95%98%EB%8A%94%EA%B0%80%EB%A5%BC%20%EC%9D%BD%EA%B3%A0%20%EC%84%B8%EA%B3%84%ED%99%94%20%EC%8B%9C%EB%8C%80%EC%97%90%20%EB%A7%9E%EC%84%A4%20%ED%95%9C%EA%B5%AD%20%EB%86%8D%EC%97%85%EC%9D%98%20%ED%98%84%EC%9E%AC%EB%A5%BC%20%EC%A7%84%EB%8B%A8%ED%95%98%EC%8B%9C%EC%98%A4_hwp_03.gif)
%EB%88%84%EA%B0%80%20%EC%9A%B0%EB%A6%AC%EC%9D%98%20%EB%B0%A5%EC%83%81%EC%9D%84%20%EC%A7%80%EB%B0%B0%ED%95%98%EB%8A%94%EA%B0%80%EB%A5%BC%20%EC%9D%BD%EA%B3%A0%20%EC%84%B8%EA%B3%84%ED%99%94%20%EC%8B%9C%EB%8C%80%EC%97%90%20%EB%A7%9E%EC%84%A4%20%ED%95%9C%EA%B5%AD%20%EB%86%8D%EC%97%85%EC%9D%98%20%ED%98%84%EC%9E%AC%EB%A5%BC%20%EC%A7%84%EB%8B%A8%ED%95%98%EC%8B%9C%EC%98%A4_hwp_04.gif)
%EB%88%84%EA%B0%80%20%EC%9A%B0%EB%A6%AC%EC%9D%98%20%EB%B0%A5%EC%83%81%EC%9D%84%20%EC%A7%80%EB%B0%B0%ED%95%98%EB%8A%94%EA%B0%80%EB%A5%BC%20%EC%9D%BD%EA%B3%A0%20%EC%84%B8%EA%B3%84%ED%99%94%20%EC%8B%9C%EB%8C%80%EC%97%90%20%EB%A7%9E%EC%84%A4%20%ED%95%9C%EA%B5%AD%20%EB%86%8D%EC%97%85%EC%9D%98%20%ED%98%84%EC%9E%AC%EB%A5%BC%20%EC%A7%84%EB%8B%A8%ED%95%98%EC%8B%9C%EC%98%A4_hwp_05.gif)
%EB%88%84%EA%B0%80%20%EC%9A%B0%EB%A6%AC%EC%9D%98%20%EB%B0%A5%EC%83%81%EC%9D%84%20%EC%A7%80%EB%B0%B0%ED%95%98%EB%8A%94%EA%B0%80%EB%A5%BC%20%EC%9D%BD%EA%B3%A0%20%EC%84%B8%EA%B3%84%ED%99%94%20%EC%8B%9C%EB%8C%80%EC%97%90%20%EB%A7%9E%EC%84%A4%20%ED%95%9C%EA%B5%AD%20%EB%86%8D%EC%97%85%EC%9D%98%20%ED%98%84%EC%9E%AC%EB%A5%BC%20%EC%A7%84%EB%8B%A8%ED%95%98%EC%8B%9C%EC%98%A4_hwp_06.gif)
Ⅰ. 서 론
Ⅱ. 본 론
1.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 주요내용
1) 곡물메이저에 빼앗긴 식량주권
2) 한국 수입곡물시장 60% 점유하는 카길의 정체
3) WTO 협상은 농민농업을 기업농업으로 바꾸려는 카길 협상
4) 삼성 카길의 한국 대행업체로 본원적 축적
5) 카길과 미국의 `식량제국주의`의 유착 관계
6) 식량메이저의 소비자로 전락할 것인가, 식량주권을 지킬 것인가`
2.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단
1) 개방대응 농업정책의 한계에 대한 반성
2) 농업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성장동력이 왜소화되고 있다
3) 은퇴를 앞두고 있는 노령층 인구가 주 노동력이 되고 있다
4) 농가부채 문제는 악화되어 가는 농가경제이다.
② 가족농중심의 집단화, 조직화를 통해 규모화에 대응해야 한다.
3.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위기의 한국 농업
1)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실체
2) 초국적 농식품복합체의 농업지배
3) 식량주권확보로 나아가는 길
4. 세계화에 맞설 한국농가의 나아갈 길
1) 새로운 경쟁력과 효율을 창출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정책이 조성해야 한다.
4) 협동조합 전국조직의 중요한 자기 역할이 되어야 한다.